20200623 https
앞으로 네트워크 카테고리는 사실상 내 메모장이나 다를바가 없을듯하다ㅎㅎ 1. 대칭키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할 때에 그 내용을 암호화할 필요가 있다. 그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똑같이 가진 대칭키를 통하여 전송 내용을 서로 암호화할 수 있고, 똑같이 대칭키를 통해 그 내용을 복호화할 수 있다. 하지만, 이러한 대칭키를 어떻게 전송하느냐의 문제가 있다. 대칭키를 전송할 때 누가 훔쳐보면 어떡하겠는가? 2. public key, private key https에서 사용되는 방식 서로 쌍을 이루는 private key A, public key B가 있으면 A로 암호화된 값은 B로만 복호화할 수 있으며, B로 암호화된 값은 A로만 암호화할 수 있다. 서버는 private key를 가지고 있고 그와 쌍을..
2020.06.23